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식품산업이슈정보

>업무안내 > 수출지원 > 新남방데스크 > 인도 > 식품산업이슈정보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현재페이지 프린트

뷰어  다운로드

  • 아래아한글 뷰어 2007  다운로드
  • Acrobat Reader 한글판 V7.0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엑셀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파워포인트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워드 뷰어 다운로드
게시글 상세보기
인도에서도 한국산 매운 라면이 팔릴까?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0/08/05 조회 1244
첨부
‘인도’ 하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상당수 사람은 요가, 부처님, 타지마할 중 하나를 대답할지도 모른다. 13억 인구, 국내총생산(GDP) 세계 6위, 한반도 면적의 15배나 되는 서남아시아의 대국이지만 한국인에게 인도는 왕오천축국전을 떠올릴 만큼 막연한 거리감, 고생, 타국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인도인에게도 한국은 낯선 존재다. 주인도 한국문화원에 따르면 2016년에 한국을 방문한 인도인은 20만 명 정도인데 연간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1000만 명이 넘는 점을 감안하면 그리 많은 숫자는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사한 한국의 국가 이미지 조사에서 인도인들이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단어는 ‘문화’, ‘음식’ 등이 아니라 ‘전자제품’, ‘기술력’이었다. 한국 기업의 인도 진출은 중후장대 산업에 한정돼 있고 인도인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 또한 그런 분야에 한정돼 있다는 인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에 대한 인도인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인도 젊은이들 사이에 BTS 열풍이 불고 일부 인도 지방정부는 ‘배그’(모바일 게임 배틀그라운드) 금지령을 내렸다. 2년 전에는 ‘태양의 후예’가 인도 주요 방송국의 프라임 타임을 차지했고 지금은 한국산 화장품 매장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한류의 확산은 보고 듣는 것을 넘어 먹는 것에 이르고 있다.
 
최근 한국산 식품이 인도로 대량 수입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18년 종자류를 제외한 한국의 인도 식품 수출은 전년보다 거의 두 배가 늘었다. 세부적으로 면류(277만 달러, 126% 증가), 커피 조제품(151만 달러, 45%), 제조 담배(62만 달러, 55%) 등의 수출이 크게 확대됐다. 면류의 대부분은 라면으로 추정되는데 필자가 인도에 왔던 2015년 당시 한국산 라면은 한국인 마트가 아니면 거의 보기 어려웠다는 점을 감안하면 격세지감마저 든다.
 
절대적인 금액만 생각하면 아직 한국 식품의 인도 수출은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지의 한국 식품 수입상이나 마트 관계자를 만나보면 한국 식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인도 거주 한국인이나 외국인이 아니고 인도인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한국 식품이나 문화 콘텐츠가 아직 인도에서 제대로 노출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인도인들이 어떻게 한국 음식을 접하게 됐는지 의문이 든다.
 
2015년 인도에 4세대(4G)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페이스북,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소셜 미디어와 스트리밍 서비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페이스북의 경우 사용자가 2억 명을 넘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통신망이 확충되고 데이터 통신 가격이 저렴해지며 스트리밍 서비스 안정성도 높아지면서 유튜브를 중심으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다수 활동하고 있다. 한 언론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유튜브 채널 중 가입자가 가장 많은 10개 채널 중 3개가 인도 채널이다.
 
세계에서 인기가 있고 지금도 심심치 않게 올라오는 유튜브 콘텐츠 중의 하나가 ‘매운 라면 먹기’(Fire Noodle Challenge)다. 인도 유튜브에서 조금만 검색하면 조회 수가 수백 만에서 수십 만 회에 이르는 인도인 크리에이터의 관련 영상을 접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홍보는 오프라인 고객 수요로 이어진다. 한국 매장에서만 구할 수 있던 한국산 라면을 이제는 인도의 대표 식료품 유통 채널인 푸드홀 등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산 라면은 이들 대형 유통 매장의 중앙 매대에 당당하게 진열돼 있다.
 
인도 식품 시장 진출을 고려할 때 생각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가 채식이다. 인도는 더운 나라이고 음식이 쉽게 상하기 때문에 동물 도살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보관과 운송에 어려움이 많다. 이런 현실적인 어려움에 살생을 금기시하는 문화가 더해져 전체 인구 중 채식주의자의 비중이 매우 높다. 2014년 인도 정부 조사에 따르면 인도 인구의 28.9%가 채식주의자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식주의자의 비중이 한 자리 수를 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인도 채식주의자 비중은 경이로울 정도다. 이에 더해 힌두교를 주로 믿는 지역에서는 채식주의자가 오히려 비채식주의자보다 많기도 하다. 채식주의자의 비중이 가장 높은 주는 북부 라자스탄으로 무려 74.9%에 이르고 KOTRA 뉴델리 무역관이 위치한 하리아나는 69.2%, 펀잡 66.8%, 구자라트 61% 등이다.
 
문화는 경제 활동의 저변에 영향을 미치고 때때로 제도로 표현된다. 인도인들의 채식 선호가 제도적으로는 라벨링 규정에 드러나 있다. 인도 식품안전청(FSSAI)이 요구하는 식품 라벨링은 크게 9가지로 ①식품명과 식품에 대한 설명 ②중량, 부피 등의 기준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한 구성성분 ③채식(Veg) 및 비채식(Non-Veg) 제품 여부 ④제조자명과 주소(수입상품의 경우 수입상의 이름과 주소) ⑤순중량 혹은 부피 ⑥상품 일련번호 ⑦제조 혹은 포장일 ⑧유통기한 ⑨영양 관련 사항이다. 다른 항목들이야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서도 요구하는 내용이지만 ③번의 채식, 비채식 제품 여부는 인도만의 독특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채식과 비채식 여부는 제품 성분에 따라 결정되는데 어떤 성분이 채식이고 비채식이냐 하는 것에 대해 공개된 규정은 없다. 규정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사 제품의 구성성분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수입상이나 대리인이 제품을 채식이라고 당국에 신고하면 당국은 식품안전 인증과정에서 그 여부를 검사, 검토, 결정한다. 내부 규정이라 속속들이 알 수는 없지만 성분마다 동물성 재료의 비중이 일정량을 넘어가면 채식 판정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채식 판정이 중요한 이유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인도 소비자들은 채식 선호 경향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필자가 아는 채식주의 인도인들은 육류를 입에 대지 않는다. 비채식 마크가 찍힌 제품은 이들에게 고려대상이 아니다. 한국산 과자 등 조제식품을 권하면 항상 채식재료 여부를 물어보고 기름에 튀긴 음식이면 그 기름이 동물성인지 식물성인지 여부까지 확인한다. 어떻게 보면 할랄과 비슷한 문화적, 종교적 맥락이 포함된 제도인 것이다.
 
채식, 비채식의 라벨링 규정 때문에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전혀 즐겁지 않은 일이 발생하게 된다. 최초 통관 시 채식으로 신고했는데 인도 당국의 재검사에 의해 비채식 재료가 발견돼 시중에 풀린 제품의 회수조치와 통관이 거절되는 경우다. 상당히 난감한 상황인데 채식주의자가 거의 없는 한국 입장에서는 사전에 알아차리기도 어렵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김치가 채식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인도인의 기준으로 김치는 채식이 아닐 수 있다. 새우젓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비타민D는 누가 보더라도 무기질이며 동물성 재료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을 동물의 장기 등에서 채취했다면 그것을 원료로 한 제품에는 채식마크를 부착할 수 없는 것이다.
 
채식, 비채식 표기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입증자료를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요즘처럼 생산공정 일부의 외주화가 보편화된 상황에서는 협력업체로부터 제조과정에 대한 입증자료를 받아놓을 필요가 있다. 자유무역협정(FTA) 원산지 증명을 받아놓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신흥국의 경우 소비력이 낮은 층이 두텁게 형성돼 있는데 이들을 타깃으로 싼 가격에 낮은 마진이라도 물건을 대량 판매하면 충분한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인도의 경우 2018년에야 1인당 실질 GDP가 2000달러를 겨우 넘겼고 인구의 70%가 농촌에 거주하고 있어 대기업이 아니면 유통채널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오이를 하나 사려고 해도 차를 타야 하고 그나마 매장에 물건이 있을 것이란 보장도 없던 과거 상황을 생각하면 인구 피라미드의 하부(Bottom of Pyramid)를 공략하는 전략은 진출 규모가 작고 현지 영업력이 열악한 중소, 중견기업이 취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도시의 여건은 다르다.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등은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아마존, 월마트 등이 전자상거래 시장에 대규모 투자를 하면서 시장 접근성이 비약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아울러 도시 거주자들의 소비력은 중진국 소비자의 그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델리 인근 수도권 지역에 뉴델리 무역관이 위치한 하리아나주의 경우 1인당 GDP가 4000달러가 넘는다. 농촌을 제외한 도시지역은 그보다 높을 것이다.
 
13억 인구를 모두 목표로 삼을 필요는 없다. 접근이 가능하고 구매여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32%인 인도의 도시화율을 대입하면 3억~4억 명의 대규모 소비시장이 드러난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이 인도에서 국민 브랜드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이제 한국의 식품 기업들이 인도 진출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때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 출처 -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의 공공저작물을 이용(공공누리)하였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할 수 없습니다.
다음글 [비관세장벽이슈] 인도 식음료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령에 반발
이전글 인도 물류산업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