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식품산업이슈정보

>업무안내 > 수출지원 > 新남방데스크 > 말레이시아 > 식품산업이슈정보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현재페이지 프린트

뷰어  다운로드

  • 아래아한글 뷰어 2007  다운로드
  • Acrobat Reader 한글판 V7.0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엑셀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파워포인트 뷰어 다운로드
  • Microsoft 워드 뷰어 다운로드
게시글 상세보기
베트남+1, 말레이시아를 주목하라!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1/03/05 조회 1000
첨부
주요내용

목차

Ⅰ. 연구 배경
Ⅱ. 말레이시아 수입구조
Ⅲ. 품목별 한·중·일 수출경쟁력 비교
Ⅳ. 말레이시아 투자진출 분석
Ⅴ. 수출·투자진출 기업 설문조사
Ⅵ. 요약 및 대응전략


주요내용

<수출>

-가공식품, 패션잡화 등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소비재 품목의 수출 경쟁력 강화
- 중국과 경쟁이 심화되는 석유화학제품은 기술집약적 품목 중심으로 차별화
<투자>
- 생산기지 건설에 집중하기 보단 ‘높은 시장매력도’를 활용할 수 있는 투자진출 형태로 베트남과 차별화
    
베트남+1, 말레이시아를 주목하라  

 

 

  미·중 통상 분쟁과 코로나19 영향으로 아세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의 아세안 진출은 베트남에 편중되어 있다최근 미국무역대표부(USTR)에서 베트남 환율조사를 개시하면서, 베트남 추가 관세부과 리스크가 발생했다. 일본이 차이나 플러스원에 이은 태국 플러스원을 통해 아세안 내 경제협력 국가를 베트남캄보디아미얀마 등으로 다양화 했듯이 한국도 베트남 외 수출 및 생산기지 발굴이 필요한 시점이다.

     

  말레이시아는 2의 베트남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IMF는 말레이시아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7.8%로 발표했다말레이시아의 세계 수입시장 규모는 2천억 달러를 상회하고, 1인당 GDP는 인구 천만을 넘는 아세안 국가 중 유일하게 1만 달러를 넘는다세계은행이 발표한 2019년 경영환경 조사에서는 전체 190개 국가 중 12위에 위치했다.

     

우리나라와 말레이시아의 경제협력은 2010년 중반 이후 다소 주춤했으나 신남방정책(한국)과 동방정책(말레이시아)의 시너지를 통해 다시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문재인 대통령과 마하티르 총리는 2019년 11월 정상회담을 통해 ICT, 디지털정부보건의료·하수 관리 등 4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한·말련 FTA의 조기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말레이시아가 제2의 베트남이 되기 위해서는 한·말련 경제협력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세밀한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말레이시아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수입시장 트렌드에 맞는 적합한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말레이시아는 중간재 수입 비중이 감소했으나 소비재 수입 비중은 커지는 추세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말레이시아 수출은 중간재(66.9%)에 집중되어 있으며 소비재 비중은 3.4%에 그쳤다.

     

또한주요 품목별 세분화된 수출경쟁력 진단 및 기업애로 파악이 중요하다석유·화학제품플라스틱·고무제품은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다중국기업의 최대강점인 가격경쟁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집약적이며 부가 가치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품목을 재구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농림수산물 및 가공식품생활용품 등은 우리나라의 수출이 연평균 10% 이상 증가했으며기업들의 수출전망도 밝게 나타났다이들 품목은 중산층 이상의 소비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프리미엄 제품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섬유·가죽제품전자·전기제품 등 수출이 부진한 품목을 중심으로는 양국의 FTA 협상을 통한 추가 관세인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장매력도가 높은 말레이시아 투자 진출은 베트남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접근해야한다말레이시아는 제조업 노동비용이 여타 아세안 국가 대비 높은 국가로 서비스업, 4차 산업 부문 투자를 늘리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우리기업이 말레이시아 서비스 시장에 진출해 선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후발 기업의 적극적인 진출 모색이 필요하다.

 

* 세부사항은 첨부문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 [IIT.국제무역통상연구원] [http://www.iit.kita.net/]의 공공저작물을 이용(공공누리 4유형)하였으며,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였습니다.

Ⅰ. 연구 배경
Ⅱ. 말레이시아 수입구조
Ⅲ. 품목별 한·중·일 수출경쟁력 비교
Ⅳ. 말레이시아 투자진출 분석
Ⅴ. 수출·투자진출 기업 설문조사
Ⅵ. 요약 및 대응전략
다음글 [비관세장벽이슈] 말레이시아, 곡물 및 곡물 제품의 새로운 수입 요건 마련
이전글 말레이시아 팜오일 시장 동향

QUICK
MENU

TOP